닫기

묘제

홈 > 묘지관련정보 > 묘지행사 > 묘제
묘제 l 제사 순서 l 묘제 축문 l 토지신 축문

묘제란 조상의 묘에서 지내는 제사로서 시기는 일반적으로 음력 10월 초순에서 중순 사이에 지내는데, 시향(時享), 시제(時祭), 시사(時祀), 묘사(墓祀)라고도 한다.

묘제의 대상은 집에서 지내는 기제사(忌祭祀 - 돌아가신 날에 맞추어 지내는 제사)가 4대조까지 모시는데 비해 묘제는 5대조 이상의 조상이다. 묘제의 준비는 종손 및 장손이 하는 것이 원칙이며, 위토(位土)가 있을 경우에는 위토를 경작하는 사람이 준비한다.
묘제는 참제(參祭) 대상이 남성이고 복장은 도포 혹은 두루마기가 원칙이다.
묘제를 지낼 대상이 많을 경우 대수(代數)가 높은 조상의 묘소부터 낮은 조상의 묘로 내려오면서 지낸다.
묘제의 제물 진설(陳設 - 제물을 제상에 차려놓는 것)은 메(밥)나 탕(국)만 없을 뿐 기제사와 같으며 상석에 진설하고, 상석이 없으면 제상이나 돗자리에 진설하면 된다.
묘제의 순서는 참신(參神) 강신(降神) 초헌(初獻) 고축(告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헌다(獻茶)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의 절차이다.

지방에 따라 가문에 따라 참신과 강신이 바뀌기도 하며 헌작(獻爵 - 술을 올리는 의식)은 참제자가 적을 때 단헌(單獻 - 아헌 종헌의 절차가 생략 됨)으로 끝나기도 하는데 이때 고축은 생략된다.
경우에 따라 묘제를 지내기 전에 먼저 토지신(土地神)에게 제사를 올리기도 하는데 진설이나 절차는 묘제와 차이가 없다.
또 눈이나 비 혹은 그 밖의 사유로 묘소를 직접 찾아가지 못할 경우에는 망제(望祭)라고 하여 재실(齋室)에서 지내기도 한다.
요즈음 묘제 풍습은 앞에서 밝혔듯이 4대 이상의 조상 묘소를 제사지내므로, 평소에는 잘 만나지 못하던 종친들이 이날만큼은 자리를 같이 하기 때문에 조상숭배라는 제사 본래의 의미에 추가하여 종친들간의 친목 기능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1. 강신
  조상이 하늘에서 내려와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의식이다. 참사자가 모두 묘 앞에 서고 제주가 꿇어앉아 분향한다. 제주는 집사로부터 빈 잔 에 술을 받아 모사나 묘에 세 번 나누어 비우고 빈 잔을 집사에게 돌려주어 제자리에 놓게 하고 두 번 절한다.
2. 참신
  조상께 모두가 인사를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를 포함한 모두가 두 번 절한다.
3. 초헌
  제주가 조상께 술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꿇어앉아 집사로부터 넘겨받은 빈 잔에 술을 받아 조금씩 세 번에 나누어 따르고 남은 술은 집사에게 주어 제자리에 놓게 하고 두 번 절한다.
4. 고축
  독축이라고도 하며 조상께 축문을 읽어 인사를 드리는 의식이다. 모두가 꿇어앉고 제주 옆에 앉은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 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5. 아헌
조상께 두 번째 술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 다음의 근친자가 술을 올리는데 절차는 초헌 때와 같다
6. 종헌
조상께 세 번째 술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 다음의 근친자가 술을 올리는데 절차는 초헌 아헌 때와 같다.
7. 헌다
  조상께 차를 올리는 의식이다. 보통 제상 국그릇의 국을 비우고 그 그릇에 숭늉 혹은 냉수를 올린다
8. 사신
  조상께 제사가 끝났음을 알리는 인사 의식이다. 참제자 모두가 두 번 절한다.
9. 철상
  제상에 차려진 제물을 치우는 의식이다 음복에 대비해 제물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제사에 쓰였던 제구들을 정리정돈 한다.
10. 음복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고 조상께 덕담과 복을 비는 의식이다. 주로 묘전에서 이루어지며 남은 음식은 참제하지 못한 노인이나 어른께 따로 싸 서 보낸다.

유세차 다음의 OO는 그해의 간지(干支), O월은 묘제를 올리는 달, 삭 앞의 OO는 그 달의 간지, O일은 묘제를 올리는 날, 일 뒤의 OO는 그 날의 간지를 적는다.
O대손은 제주가 조상의 몇 대손인가, 대손 뒤의 OO는 제주의 이름, 현 뒤의 O는 제주로부터 몇 대 조상인가를 적는다.
대조 뒤의 O는 할아버지일 때 고(考) 할버니일 때 비(?)를, 부군지묘 앞의 OO는 조상이 벼슬을 하였을 때 관직을 적고 그렇지 않으면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로 적으며, 할머니의 경우는 나라로부터 관직을 받았을 때 관직을 적고 그렇지 않으면 학생이나 처사 대신 유인(孺人)이라고 적으며 부군 대신 관향과 성씨(貫鄕 - 예로 慶州金氏)를 적는다.
풀이하면, 단기(서기) OOOO년 O월 O일 O대손 OO는 할아버님(할머님) 묘소에서 삼가 아룁니다.
계절이 바뀌어 이미 서리가 내렸습니다. 묘소를 우러러 바라보며 그리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이에 삼가 술과 음식을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O표시 부분은 묘지 축문을 참고하여 적는다.

풀이하면,
단기(서기) OOOO년 O월 O일 OOO는 삼가 토지신께 삼가 아룁니다. 저의 O대조 할아버님(할머님) 묘소를 이곳에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계절이 돌아와 신께서 보살펴 주신 고마움에 삼가 경건한 마음으로 술과 찬을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상호: 지기토건 | 대표: 김태흠 | 사업자 등록번호: 206-11-84472 | 전화번호: 031-564-3404 | 팩스번호: 031.556.7043 | 주소: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714
차고지 :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714(구리시 장자호수길76-72) | E-mail: 김태흠 | [email protected] | 문의 담당자 : 김태흠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흠

납골묘, 모지공사 : 전국지역가능 / 묘지관리, 벌초는 : 경기, 충청지역가능 / 상담전화 : 031-564-3404 (지기토건), 전국무료전화 : 080-452-3404
H.P : 010-9030-7043, 010-9269-7043

Copyrightⓒ 2006 지기토건. All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