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풍수지리

홈 > 묘지관련정보 > 묘의 이해 > 풍수지리
풍수란? l 풍수의 역사
묘자리를 잡는데 쓰이는 패철   길일을 잡는데 쓰이는 책력  
   
       
음양론(陰陽論)과 오행설(五行說)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를 체계화하여 주로 주역(周易)을 기준으로 삼아 길한 것을 추구하고 흉한 것을 피함을 목적으로 한다.

풍수의 본래 의미는 지극히 일상적이고 평범한 생활 환경을 대변하는데 풍(風)은 기후와 풍토를 이르며, 수(水)는 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이름이다.
따라서 풍수란 현대의 지리학과 다를 바가 없다. 곧 풍수의 사상은 현대의 인문 지리학과도 관련이 깊어 도읍이나, 마을터, 집터, 묘터, 지하수맥 찾기, 정원수의 배치 등등 현대 생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풍수는 살아있는 사람만이 아닌 죽은 사람도 중요시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풍수의 기본 논리는 땅속에 일정한 경로를 따라 돌아다니는 기(氣)를 사람이 접함으로써 복을 얻고 화를 피하자는 것이다.
죽은 사람이 땅속에서 접한 기는 후손들에게 그대로 이어진다고 믿는데 이것을 동기감응(同氣感應), 친자감응(親子感應)이라고 한다.
풍수는 산, 물, 방위, 사람 등 네 가지의 조합으로 성립되며, 구체적으로는 간룡법(看龍法), 장풍법(藏風法), 득수법(得水法), 정혈법(定穴法), 좌향론(坐向論), 형국론(形局論), 소주길흉론 (所主吉凶論)등의 형식이다.
 
1. 간룡법
풍수지리에서 용은 곧 산을 가리킴이니, 용맥의 좋고 나쁨을 멀고 높은 곳에서부터 가까운 곳까지 살피는 방법이다.
2. 장풍법
명당 주위의 지세에 관한 풍수이론의 통칭으로 남향을 기준으로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의 네 가지가 주종을 이룬다.
3. 득수법
물길을 살피는 것으로 길한 방위로부터 흘러 들어와 흉한 방위로 나가야하며, 곧고 급하게 흘러서도 안 된다.
4. 정혈법
생기가 집중하는 곳을 살피는 것으로, 사람의 몸에 침을 놓는 것처럼 정확한 자리를 잡아야 기의 조응을 받게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아무리 좋은 터도 도리어 나쁜 터가 된다.
5. 좌향론
방위에 관한 것으로 뒤가 되는 방위를 좌(坐), 앞이 되는 방위를 향(向)이라고 한다. 같은 자리라도 산과 물의 전반을 고려하여 정확한 방위를 잡아야 한다.
6. 형국론
실제로 산을 다니며 길한 땅을 찾는 과정에서 산천의 형세를 인물 및 짐승의 형상에 유추하여 지세와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다.
7. 소주길흉론
땅을 쓸 사람과 관계되는 것으로, 적선(積善)과 적덕(積德)한 사람에게 길지가 돌아간다던가, 또 임자가 따로 있다거나, 사주팔자가 땅의 오행과 서로 맞아야한다는 것 등이다.
이상과 같은 일곱 가지의 분류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이 모두 일체가 되어 판단한다.
풍수는 중국에서 발달하여 우리나라에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인 기록을 보면 고구려를 침공하였던 관구검(?丘儉)의 묘가 고독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 멸족을 당하리란 예언, 신라의 선덕여왕이 여근곡(女根谷)이란 산 모양을 보고 백제의 군사가 매복하였음을 알아낸 것,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벽화에서 사신도(四神圖)가 그려진 것 등을 보면 그 당시에도 풍수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풍수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통일신라시대 승려 도선(道詵)으로부터이다.
도선은 당나라로부터 풍수를 들여와 제자들과 함께 국토를 오늘날의 인문지리학에 가깝게 해석하였다.
그는 나라의 수도위치가 동남방에 치우친 경주보다 중부지방이 낫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고려 개국의 이념적 실리적 바탕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는 태조 왕건이 풍수지리설에 힘입어 나라를 세운 만큼 그에 대한 관심이 지극하였고, 그 이후에도 계속 풍수의 영향은 지속되었다. 조선시대 역시 태조 이성계가 무학대사의 풍수지리에 영향을 받은바 정치 기반 확립에 풍수를 이용하였다.

조선은 국가의 이념이 유교국가의 확립이어서 풍수가 도읍풍수에서 효(孝)의 관념이 부각된 묘지풍수로 전환되었다.
사람이 사는 터를 양기(陽基)라 하고 죽은 사람의 집인 묘를 음택(陰宅)이라 하여, 좋은 양기에 살면 부귀 다자손(多子孫)하여 행복하며, 좋은 음택에 조상을 모시면 조상의 음덕으로 자손이 발복(發福)한다는 사고이다.
조상의 시신은 비록 유명을 달리하였지만 자손과 연결된 기는 그대로 유지되어 살아 있는 자손에게 길흉화복이 미친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상을 명당에 모시기 위해 온갖 정성을 다하고 다툼도 많았다.
그것은 자손의 발복이라는 이기적 동기가 조상에게 효도한다는 것으로 위장되어 더욱 성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개인의 묘지 혹은 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이기적 풍수는 조선 중기 이후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추구하는 실학자들로부터 망국의 표본으로 질타를 당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풍수는 미신으로 치부되어 업신여김을 당하는 처지이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은 자기에게만은 풍수가 좋은 결과가 오기를 기대하는 이중적인 기준을 가진다.
근래에 우리의 전통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풍수지리도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취락입지, 집터잡기, 집터에서 건물배치에서 풍수가 이용되며, 묘지의 지하수맥 악영향, 주택 주거공간의 지하수맥 차단을 위해 동판을 까는 것도 풍수의 이론과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풍수는 우리 인간이 수 천년 동안 살아오며 터득한 생활의 지혜이며, 앞으로도 실생활에 유익하게 이용될 실용 과학이다.

상호: 지기토건 | 대표: 김태흠 | 사업자 등록번호: 206-11-84472 | 전화번호: 031-564-3404 | 팩스번호: 031.556.7043 | 주소: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714
차고지 :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714(구리시 장자호수길76-72) | E-mail: 김태흠 | [email protected] | 문의 담당자 : 김태흠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흠

납골묘, 모지공사 : 전국지역가능 / 묘지관리, 벌초는 : 경기, 충청지역가능 / 상담전화 : 031-564-3404 (지기토건), 전국무료전화 : 080-452-3404
H.P : 010-9030-7043, 010-9269-7043

Copyrightⓒ 2006 지기토건. Allrights Reserved.

^